진원생명과학 주가 전망, 코로나 끝나도 성장하는 바이오주

진원생명과학은 바이오의약품을 위탁생산하는 CMO 사업과 차세대 바이오신약 개발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진원생명과학 주가는 코로나 백신 임상시험이 진행되면서 국내 2호 코로나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크게 상승했던바 있습니다.

 

하지만 화이자, 머크 등 외국계 제약회사에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를 비롯한 우수한 치료제가 쏟아져 나오면서 신약개발이 미뤄지고 있는 진원생명과학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진원생명과학 주가, 코로나 치료제 개발, mRNA사업,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진원생명과학-로고

 

 

진원생명과학 주가


진원생명과학-주가

진원생명과학의 주가는 코로나 치료제 임상시험 통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한때, 57,500₩까지 주가가 급등해 고점을 형성했으나, 치료제의 개발 일정이 계속해서 미뤄졌습니다.

 

코로나 치료제 시장이 타 기업에 선점당함에 따라 신약 개발 모멘텀 상실로 주가가 꾸준히 하락하여 현재는 고점 대비, -58% 하락 24,200₩에서 주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진원생명과학은 10월 8일을 기점으로 상증자가 이루어짐에 따라 주가에 변동이 있었다는 점도 인지해야 합니다.

 

 

진원생명과학 코로나 치료제


진원생명과학 주가 상승을 이끌었던 코로나 치료제는 여전히 개발 중에 있습니다. 진원생명과학은 두 가지의 신약을 개발 중입니다.

 

코로나-치료제-사진

 

첫 번째로 코로나19 감염 억제 약인 'GLS-1200'은 스프레이 형태로 5월 미국에서 임상 2상 승인을 받았습니다. 두 번째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GLS-1027'은 현재 임상 2상 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코로나 치료제 개발에 따른 모멘텀은 이미 상당 부분 훼손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게임 체인저'라고 불리는 화이자와 머크의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가 전 세계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 두 기업의 경구용 치료제를 구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셀트리온-코로나-치료제

 

더욱이 국내에서만 셀트리온, 대웅제약, 신풍제약 등 10여 개의 업체가 치료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부광약품은 심지어 치료제 개발을 포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진원생명과학이 코로나 신약 개발이 성공한다고 해도 이미 늦었다고 판단되며 그 개발조차도 언제 이루어질지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진원생명과학 mRNA 사업


실제로 진원생명과학 주가를 견인할 수 있는 남은 모멘텀은 mRNA 사업에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mRNA 의약품 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며 그 원료인 플라스미드 DNA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mRNA-시장-규모

진원생명과학은 6,800평 규모의 세계 최대 규모의 플라스미드 DNA공장을 올해 완공할 예정이며 경쟁사 Aldevron을 훨씬 앞서는 규모의 생산시설을 갖춰가고 있습니다.

 

경쟁사 Aldevron의 기업가치가 4조 원 이상으로 평가받고 있는 반면 더 큰 규모의 생산시설을 보유한 진원생명과학의 시가총액은 1조 1천억에 불과합니다.

 

코리안 디스카운트라고 불리는 국내 회사들의 저평가 문제를 감안해도 과도하게 저평가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최근 모더나의 mRNA 치료제가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면서 mRNA시장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진원생명과학 주가 전망


진원생명과학 주가는 오랫동안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 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한 상승분을 반납하고 있는 것으로 mRNA 사업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진원생명과학의 진짜 무기는 mRNA 시장의 원료 플라스미드 DNA 생산능력입니다. 최근 진행 중인 유상증자 역시 공장 설립을 위한 자금조달 목적이었던 만큼 향후 성장이 기대됩니다.

 

진원생명과학측은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해 매출에 반영되는 시기를 내년 하반기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공장이 가동되는 만큼 극적인 실적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진원생명과학측은 예상 매출에 대해 최대한 보수적으로 잡아도 5,000억 규모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진원생명과학 무상증자 및 유상증자, 외국인 순매수 강세

 

진원생명과학 무상증자 및 유상증자, 외국인 순매수 강세

진원생명과학은 의약품의 위탁생산을 주력으로 신약개발 및 mRNA의 원료인 플라스미드 DNA를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플라스미드 DNA 생산에 있어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진원생

shark-man.tistory.com

 

셀트리온 주가 급락, 화이자 먹는 치료제 영향, 렉키로나 현황

 

셀트리온 주가 급락, 화이자 먹는 치료제 영향, 렉키로나 현황

미국의 제약 회사 화이자에서 코로나 19 먹는 치료제 개발 소식을 발표하면서 셀트리온의 주가가 6%이상 급락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주가와 전망 화이자의 치료제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

shark-m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