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뜻, 장기투자를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주식투자를 한다고 하면 누구나 '재무제표가 중요하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재무제표에는 기업의 자산현황과 부채비율, 매출액 등 모든 재무 구조에 관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하지만, 실적이 좋다고 해서 빠르게 성장한다고 해서 좋은 회사라고 할 수 있을까요? 코로나 팬데믹이 불러온 세계적인 혼란 속에서 사회는 기업에게 사회적 책임을 묻기 시작했습니다.
이윤창출과 성장에 중심을 두던 기존의 경영에서 벗어나 사회적 책임을 지는 지속 가능한 경영을 기업에게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느 때보다 쉽게 여론이 형성되며 기업 이미지가 중요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착한' 기업이 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해졌습니다.
성장을 이루고 매출을 올리는 '강한' 기업이 아니라 ESG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질 줄 아는 '착한' 기업이 되는 것이 새로운 기업의 성공전략이 된 것입니다.
ESG 뜻
그렇다면, 대체 ESG가 무엇이길래 ESG를 지키면 착한 기업이라는 것일까요?
ESG는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를 말합니다.
이는 기존의 재무적 요소와는 구별되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로, 장기적으로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여 사회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세 가지 요소입니다.
기존에는 막대한 돈을 벌어들인 뒤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착한 기업의 평가기준이었다면, ESG는 돈을 벌어들이는 과정 자체를 착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Environment [환경]
기업이 환경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입니다.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이슈화되는 상황에서 인류가 계속해서 살아가야 하는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지키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무리 좋은 샴푸를 만들어낸다고 하더라도 그 샴푸가 수질오염과 환경파괴를 야기한다면 해당 제품은 좋은 제품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고객들은 성능은 조금 떨어지더라도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친환경 샴푸에 보다 좋은 점수를 줄 것입니다.
최근 ESG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문제로, 탄소배출권과 친환경에너지 등의 이슈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Social [사회]
기업이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실제 예로는 사회적 약자 보호, 인권 존중, 고용 평등과 같은 이슈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실제로, 최근 노조와 갈등을 빚고 있는 현대제철은 노동자들의 파업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서 500억 원 이상의 손실을 입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전적 손실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기업의 이미지 훼손을 불러오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현대제철 파업 현대제철 지회
Governance [지배구조]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투명성을 의미합니다. 투명한 기업 운영, 부패 방지, 공정성 강화, 법과 윤리의 준수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아무리 사회적으로 선한 영향력을 끼친다고 해도 기업 내부적으로 노동자를 착취하여 얻은 이득으로 사회에 환원한다면 아무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착하게 돈을 버는 과정을 투명성 있게 공개하는 것이 Governance(지배구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ESG와 장기투자
만약 자신의 주식투자 스타일이 장기투자라면 이제는 재무제표보다 ESG에 먼저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사회에서는 E(환경)을 해치는 기업에 대한 제재는 강화될 것이고, S(사회)에 환원하지 않는 기업은 고객들이 등을 돌릴 것이며, G(지배 투명성)이 없는 기업은 신뢰를 잃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ESG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수의 사람들이 ESG를 인식하고 있는 만큼 ESG를 지키지 않는 기업은 도태될 수밖에 없습니다.
높아진 관심에 따라 ESG 투자 또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창궐한 2020년부터의 성과를 보면 ESG를 기준으로 한 투자가 일반 지수 투자의 성과를 0.7%가량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착한 기업은 돈을 못 번다? 는 옛말이 되었습니다. 이제 착한 기업이 돈을 버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기업 ESG점수 확인
국내 기업들의 ESG 평가는 한국기업 지배구조원 KCGS에 의해서 평가되고 있습니다. 무려 2011년부터 이어져온 지속가능 경영 수준 평가입니다.
매년마다 ESG 우수기업에 대한 시상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0년의 ESG 우수기업 대상은 '포스코 인터내셔널' 이 수상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ESG 평가점수를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KCGS의 ESG 평가 등급 조회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gs.or.kr/business/esg_tab04.jsp
KCGS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등급 조회 * 이용자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사전승낙 없이 제공 평가등급 전체 또는 일부를 복제, 송신, 출판, 재배포하거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상기 저작물
www.cgs.or.kr
위의 링크로 들어가서 검색하고자 하는 기업명을 검색하면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각의 점수부터 통합 ESG 등급까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는 투자에 있어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정보인 기업 ESG 등급, 모두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하는 기업에 장기 투자하는 현명한 투자자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악수하는-사진](https://blog.kakaocdn.net/dn/LfEHp/btrgRTr0GQx/EVAffbpO3uImCUuf5KZcqk/img.jpg)
'주식 > 주식 주절주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자동차 노동조합 캐스퍼 온라인 판매 반대, 현대차 주가전망의 걸림돌 (0) | 2021.10.13 |
---|---|
이란, 삼성 LG 전자제품 수입금지,동결자금압박, 미국분쟁 (0) | 2021.10.11 |
트위터 비트코인, 가상화폐 이용한 후원 팁스 도입, 시세는 그대로? (0) | 2021.09.29 |
중국 헝다그룹 파산이 주식과 코인에 미치는 영향 (0) | 2021.09.21 |
미국주식 해외주식 증여세 계산하는 방법, 자녀 주식증여를 위한 필수과정 (0) | 2021.09.21 |